흐린 날 가볼 만한 곳: 서울식물원

서울식물원 소개
서울식물원은 마곡나루역 근처에 위치한 도시형 식물원으로, 다양한 식물과
아름다운 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특히 흐린 날에도 온실에서 다양한
식물을 구경할 수 있어 날씨와 관계없이 방문하기 좋은 장소입니다.
서울식물원은 8,000종 이상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테마의 정원과 온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열린숲, 호수원, 습지원은 무료로 개방되어 있어 누구나 쉽게
방문할 수 있습니다.


위치 정보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동로 161
교통: 공항철도 마곡나루역에서 도보로 약 8분 거리
운영시간 및 입장료
운영시간
- 주제원(온실, 주제정원):
- 평시(3월~10월): 09:30~18:00 (입장 마감 17:00)
- 동절기(11월~2월): 09:30~17:00 (입장 마감 16:00)
- 매주 월요일 휴관
- 열린숲, 호수원, 습지원: 연중무휴
입장료
구분 | 요금 | 비고 |
---|---|---|
성인 | 5,000원 | 만 19세 이상 |
청소년 | 3,000원 | 만 13세 ~ 18세 |
어린이 | 2,000원 | 만 6세 ~ 12세 |
단체(30인 이상) | 30% 할인 | 해당 입장료의 30% 할인 |
※ 2022년 1월 1일부터 제로페이 할인 중단
주변 맛집 추천
서울식물원 근처에는 다양한 맛집이 있어 식사 후 방문하기에 좋습니다. 아래는 추천하는 맛집 3곳입니다.
봉이밥
건강한 한식 위주로, 쭈꾸미 정식과 비빔밥이 인기입니다.
서울 강서구 마곡중앙로 171 안강2차 103, 104호
02-6954-0288
평일/주말 11:00 - 21:00
(브레이크타임: 평일 15시~17시, 주말 16시~17시)
휴무일: 없음
동양식당
동양짬뽕, 와사비 세트 등 다양한 중식 메뉴를 제공합니다.
서울 강서구 마곡중앙5로1길 20 보타닉비즈타워 2층
02-2093-6633
매일 11:00 - 22:00
휴무일: 없음
신선
해물짬뽕, 과일탕수육 등 신선한 해산물 요리를 제공합니다.
서울 강서구 마곡동로 62 마곡 사이언스 타워 208호
02-3665-1982
매일 11:00 - 22:00
휴무일: 없음
식물원 관람 전후로 맛있는 식사를 즐기시면 더욱 즐거운 하루가 될 것입니다 😊
서울식물원에서의 즐길 거리
서울식물원은 단순히 식물을 감상하는 곳이 아닙니다.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체험 활동이 마련되어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도 적합합니다.
다양한 식물 관람
서울식물원은 8,000종 이상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어 식물 애호가들에게 천국과 같은 곳입니다. 특히 온실에서는 열대 및 지중해 지역의 식물들을 사계절 내내 만날 수 있습니다.

교육 프로그램
어린이를 위한 정원학교와 성인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어, 방문객들은 식물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 어린이 정원학교: 식물 관찰 및 체험 활동
- 성인 교육 프로그램: 식물 가드닝, 식물 관리법 등
- 가족 참여 프로그램: 가족과 함께하는 식물 관련 활동
사진 촬영
서울식물원의 아름다운 경관은 사진 애호가들에게 인기 있는 촬영 장소입니다. 계절마다 다양한 꽃과 식물들이 만발하며, 특히 주제원과 온실은 멋진 사진을 찍기에 좋은 배경을 제공합니다.
휴식 공간
식물문화센터에는 다양한 식물 관련 전시와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카페와 편의시설도 잘 갖추어져 있어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자연 속에서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고 싶다면 이곳을 추천합니다.
결론
흐린 날에도 서울식물원은 자연을 느끼고 힐링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입니다. 주변 맛집에서 맛있는 식사를 즐기고, 식물원에서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보세요.
서울의 도심 속에서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이 될 것입니다.
'추억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흐린 날 갈만한 곳 서울 명소 빛의 라운지 (0) | 2025.04.18 |
---|---|
흐린 날 갈만한 곳 서울의 명소 홍대 넷플릭스 앤 칠 (3) | 2025.04.18 |
무해한 하루가 전하는 메시지 (2) | 2025.04.17 |
‘좋아요’보다 중요한 것, 내 안의 만족 (1) | 2025.04.16 |
혼자 사는 삶, 더 이상 두렵지 않게 만드는 방법 (3) | 2025.04.15 |